글
라즈베리파이로 홈서버 만들기
사실 이 글이 가장 앞에 있어야 하는데 라즈베리 관련 여러 글을 쓰고서야 설치 얘기를 하게되었다. 그게, 처음 설치 후에 갑자기 라즈베리가 동작하지 않아 애태우다가 글 쓸 타이밍을 놓쳐버렸었다.
각설하고,
집에서 영화보고, 파일 관리하는데 꼭 필요한게 NAS다. 그래서 그걸 Pogoplug를 해킹해서 리눅스를 만들어 굴린게 벌써 7년 전이다. 그동안은 archlinix로 잘 썼었다. 사실, 집에서 리눅스를 굴린다고 해 봐야 토렌트 다운로드을 위해 트랜스미션만 잘 돌아가면 되는 것이었으니까.
그런데, 사람의 욕심이라는게 참… MySQL을 깔고 mysqldump를 하는데 잘 안된다. 그 이유가 뭔고하니 메모리 부족이란다. 그래 256M 정도니… 인정해 줄께.
VitrualHosting 하는 것도 워낙 저가로 했더니 mysql은 설치가 되지만 mysqldump로 조금만 큰 데이터를 넣으려 해도 실행이 되지 않았었다. 그런데 그 해결책이 생긴 것이다.
그래서 라즈베리파이를 구매했다. 기존에 라즈베리파이4에 4G 메모리 버전이 있는 것은 알았는데, 신제품으로 메모리 8G 버전이 나왔다는 것을 보고는 홀리듯 구매해버렸다.
라즈베리파이 스펙을 살펴보자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G4Pm/btqPYTqiuog/qNUSbUQ4cPgSahRWEYNdck/img.png)
라즈베리파이4 8GB가 되면서 CPU는 그대로지만 RAM이 늘었고 네트워크가 향상되었다.
이정도로 스펙을 알아봤으니 배송받은 라즈베리파이 외양을 본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Cnr3/btqPPCjmu2n/OQ08uK8ECNUA7GXObiB9rk/img.jpg)
빨간(정열적인?) 박스에 본체와 거기 붙일 방열판이 왔다. 방열판 기본 내장인 것으로 보아 열이 많이 나는가 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DVOj/btqPYjW3ZF6/ZH2dYBxYiYhC7m8MnQfRA1/img.jpg)
포장을 뜯고 내용물을 꺼내봤다. 단일 기판에 모든 것이 조밀하게 들어있는데 CPU 및 랜포트 등 필요한 것은 다 있는 것 같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ismc/btqPYSEV9Jw/CsvTQKhUhHQDShBL2TxzS0/img.jpg)
뒷면을 뒤집어 보자. 아하, 마이크로SD 꽃는 곳이 아래에 있었다. 거기 끼우니 딱 맞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A0JM/btqPRArGg36/us3abwxWEzcw5J6bYmaTCk/img.jpg)
열이 많이 난다고 하니 같이 포장되어 온 방열판을 붙이자. 부품도 몇개 안되지만 그 위에 붙이니 크기도 딱 맞는다. 추가로 케이스를 구매했는데 저 방열판은 크기가 맞지 않아 떼어버려야 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8L0M/btqPPD3wz0k/QyRhhkcorWPkRCvxgnWFik/img.png)
라즈베리파이를 위해 어떤 OS를 깔아야 할까. 리눅스를 다룰 줄 알다보니 당연히 내 선택은 Ubuntu Server였다. 제공되는 버전은 20.04 LTS다. 늘 터미널로만 쓰다보니 X-window 연결은 고려대상 밖이다. 또한 8G 메모리이니 64bit 버전을 사용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JTl3/btqPTD9BnZp/YyuUWTnXio9prB2dzWpe70/img.jpg)
우분투 서버 설치를 위해 설치 툴인 winimager32와 우분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았다. 우분투 이미지는 압축시에 670메가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압축을 푸니 3G정도 사이즈가 된다. 저 압축 푼 파일로 작업을 할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RLnA/btqPYTKyZ70/3Iwky7HkJWbJQEICWENgPK/img.png)
파일과 MicroSD가 준비되면 이미지 툴로 구우면 된다. 기존에 준비된 이미지를 굽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도 별로 걸리지 않는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wxg6/btqP11IRxHQ/Zny0D4NzXX2WyCb1zj5PK1/img.png)
굽고나면 그림처럼 완료 메시지가 뜬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3LIcX/btqP4kuAwp7/j3eXmfqPQ5ptYsU13OPNn0/img.png)
그리고 윈도우에서 리눅스 이미지를 구웠음에도 불구하고 뭔가 파일 목록이 보인다. 그것이 뭔고 하니 부팅 이미지다.
아래 그림에서 처럼 60MB 가량읔 FAT32인 부분이 있어서 윈도우에서도 일부 보이게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wTli/btqPYUcE3wE/J29rtDFmL1nNvRJXOap3aK/img.png)
이제 설치를 마쳤으니 SSH로 로그인 할 수 있다. 로그인 해 보자. 그러면 초기 세팅이 UTC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caYL4/btqQbFkpMaT/GRoSVHrPXGxe7lv9RdakY1/img.png)
이것을 KST로 바꿔보자. 터미널에서 dpkg-reconfigure tzdata 라고 입력하면 TimeZone을 고를 수 있는 화면이 나오고, 거가서 "Asia/Seoul"을 골라주면 된다. 이 작업은 root 권한으로 해야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WGfF/btqP12nsldq/TmxCISpEqOGVvi5Q155KI0/img.png)